2023-24시즌 노르딕스키 국가대표 선수 및 지도자 선발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. 1. 선발 개요 1) 선발구분 : 2023-24시즌 노르딕스키 국가대표 선수 및 지도자 선발 2) 선발일시 : 2023년 4월 중 3) 장 소 : 추후 공지 2. 선발기준(국가대표 선수) 1) 대한장애인노르딕스키연맹 국가대표 선발규정 제10조에 의거하여 선발함. 2) 2022-23시즌의 대회성적, FIS포인트, 테스트 점수를 반영하여 채점함. ① 노르딕스키 국가대표 선수 선발기준은 [별표 1]의 세부세칙을 원칙으로 한다. ② [별표 1]에 따른 배점 총점이 가장 높은 순으로 당해 연도 국가대표 선수 정원 에 맞게 선발하고, 그 정원은 국가대표 훈련 사업 예산에 따라 전문체육위원회 에서 결정한다. ③ FIS 포인트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포인트를 사용한다. ④ 국내대회 성적은 세부종목 중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에 대한 성적만을 사용한다. ⑤ 합산한 성적이 동점일 경우 국가대표 선수 경력이 있는 자를 우선 선발한다. 3) 국가대표 선발규정 [별표 1] - 「노르딕스키 국가대표 선수 선발기준 표」선발기준 | 세부세칙 | 비고 | 공통사항 | 가. ⓐ+ⓑ+ⓒ 합산점수 상위자 순으로 선발한다. 나. 모든 국내대회(회장배, 동계체전) 및 테스트에 반드시 참가해야 하며, 불참 시 선발대상에서 제외한다. 단, 국제대회 참가 등의 사유로 불참할 시 예외를 인정한다. | ⓐ 국제대회 기준기록 대비 국내대회 기록 점수 (총 50점) | 가. 장애부문과 관계없이 국제대회 기준기록 대비 국내대회 기록이 근접한 순으로 배점: 1순위(50점), 2순위(46점), 3순위(42점), 4순위(39점), 5순위(36점), 6순위(33점), 이하 등위부터는 1.5점씩 감산 1) 국제대회 기준기록: 당해 시즌 국제대회(월드컵 레벨 이상) 중 크로스 컨트리 2종목의 장애부문별 각 1위 기록 2) 국내대회 기록: 당해 시즌 국내대회 중 크로스컨트리 2종목의 본인 기록(각 종목의 회장배, 동계체전 기록 평균값) 예)회장배 클래식 경기+동계체전 클래식 경기 평균 회장배 프리 경기+동계체전 프리 경기 평균 나. 단, 국제대회 참가로 인하여 국내대회에 출전하지 못한 경우 해당 국제대회의 결과로 계산한다. 다. 국제대회 기준기록과 국내대회 기록 비교 시 국내대회의 km당 평균기록을 산출하여 비교한다. 이 때, 세부종목명의 경기거리와 실제거리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실제거리를 측정하여 대입한다. 예)세부종목명: CC클래식 3km / 실제거리: 2.5km 라. 국제대회 세부종목은 국내대회와 동일한 테크닉이면서 근접한 경기거리인 종목으로 선정한다. | 적용대회 종류, 세부종목, 테크닉, 평균값 산출 등의 세부내용은 전문체육위원회에서 결정한다. | ⓑ FIS 포인트 점수 (총 30점) | 가. 장애부문과 관계없이 FIS 포인트 상위자 순으로 배점: 1순위(30점), 2순위(27점), 3순위(24점), 4순위(22점), 5순위(20점), 6순위(18점), 이하 등위부터는 1점씩 감산 | 전문체육위원회 개최 직전 차수의 FIS 포인트 사용 | ⓒ 테스트 (총 20점) | 가. 스키에르그 테스트 장애부문별 상위자 순으로 배점: 1위(20점), 2위(17점), 3위(14점), 4위(12점), 5위(10점), 6위(8점), 이하 등위부터는 1점씩 감산 나. 스탠딩 선수의 경우 런닝 또는 롤러스키 테스트로 대체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, 이는 전문체육위원회에서 결정한다. | |
|